환자 감시 및 마취 기록의 핵심 전략

2025. 3. 22. 18:18마취통증의학

환자 감시와 마취 기록의 핵심 전략 – ASA 기준 기반 임상 적용 가이드 🩺

환자 감시(Patient monitoring)와 마취 기록(anesthesia record)은 마취의 안전성과 질을 결정하는 핵심 축입니다. 특히 마취 중 생리적 지표의 급격한 변화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감시와 정확한 기록은 단순한 데이터 수집을 넘어 위험 예지 및 대처 전략의 일환으로 간주됩니다. 본 글에서는 ASA, KSA 등의 최신 기준에 따라 필수 감시 항목과 기록 전략을 정리하고, 마취간호사의 역할을 임상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목차

  1. 마취 중 필수 감시 항목
  2. 고급 감시장비의 적용 기준
  3. 마취 기록의 구성과 작성 원칙
  4. 회복기 감시와 이송 전 기준
  5. 마취기계 및 감시장비 이상 시 대처법
  6. 마취간호사의 실무 적용 포인트
  7. 참고문헌

1. 마취 중 필수 감시 항목 🎯

✅ ASA 표준 감시 항목 (2022)

  • 산소 공급 상태 (FiO₂)
  • 산소 포화도 (SpO₂)
  • 심박수 (HR), 심전도 (ECG)
  • 비침습 혈압 (NIBP): 5분 간격 측정
  • 체온 (T°C): 장시간 수술 또는 소아
  • 호흡수 (RR)이산화탄소 농도 (ETCO₂): 삽관 환자 대상

🔍 감시 데이터의 임상적 해석

  • ETCO₂ 상승 → 호흡저하, 순환부전 가능성
  • SpO₂ 90% 이하 지속 → 기도 확보 여부, 환기장애 확인
  • NIBP 20% 이상 하강 → 출혈 또는 마취 심도 과다 가능성

📌 ASA는 “호흡기능과 순환기능은 마취 중 최소 5분 이내 간격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명시합니다.


2. 고급 감시장비의 적용 기준 🧪

🔬 적용 상황별 고급 감시 항목

상황 추천 장비 설명

대혈관 수술 동맥압 측정기 (A-line) 실시간 혈압, ABGA 가능
대사 불균형 요도 카테터, 체온 탐침 수액 균형, 저체온 감시
심장수술 심초음파 (TEE) 심실 기능, 판막 역류 평가
뇌신경 수술 뇌산소 모니터, BIS 뇌관류, 마취 깊이 동시 감시

💡 BIS(Bispectral Index)의 의의

BIS는 EEG 기반으로 마취 깊이를 수치화하며, 일반적으로 40-60 범위가 적정 마취 깊이로 간주됩니다. BIS는 불필요한 마취약제 사용을 줄이고, 마취 후 회복을 가속하는 데 기여합니다.


3. 마취 기록의 구성과 작성 원칙 📋

✅ 기록 항목 구성

  • 마취 시작·종료 시간
  • ASA 등급, 수술명, 마취 종류
  • 사용 약물, 투여 시간, 용량
  • 생체징후 변화 및 이벤트 발생 시각
  • 마취의사, 간호사 서명 및 이중 확인

✅ 정확한 기록의 조건

  • 사실 기반: 관찰된 수치만 기록
  • 실시간 입력: 지연기록 금지 (위조 판단 가능성 있음)
  • 이벤트 명확화: 저혈압, 탈기, Bradycardia 등 발생 시 시간대 표기
  • 이중 서명 원칙: 법적 문서로 간주되기 때문에 서명 필수

🧠 최근 전자마취기록지(e-AR)가 보급되며, 자동화된 생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반면, 여전히 이벤트 해석 및 간호기록은 인간의 임상적 판단이 중요합니다.


4. 회복기 감시와 이송 전 기준 🚑

✅ 회복실(PACU) 감시 항목

  • SpO₂, HR, BP, RR, 체온
  • 의식 수준 (Aldrete score ≥ 9)
  • 진통 정도 (NRS), 오심/구토 여부
  • 수술 부위 출혈 및 감염 징후 여부

✅ 이송 전 체크리스트

  • 기도 확보 상태 (튜브, LMA 제거 여부)
  • 자발 호흡 정상 / SaO₂ > 95%
  • 출혈량 및 배액관 상태 확인
  • 마취기록지 완성 여부 확인
  • 이송 후 보고 시스템(핸드오버 문서) 준비

📌 Aldrete Score는 회복기 기준 중 핵심 지표이며, 점수 미달 시 병동 이송 금지됩니다.


5. 마취기계 및 감시장비 이상 시 대처법 ⚠️

마취 중 기계 고장은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 점검과 대체 시나리오 수립이 필요합니다.

🚨 주요 장비 이상 사례 및 대처

장비 이상 상황 간호 중재

마취기계 O₂ 공급 중단 수동 백(BVM)으로 즉시 전환, 예비 O₂ 확인
모니터 ECG 작동 불가 리드 교체, 수동 청진 및 맥박 측정 병행
BP 커프 측정 오류 수동혈압계로 전환, 다른 부위 재부착
ETCO₂ 측정 불가 기기 접속 재확인, 공기 누출 여부 확인  

🛠 장비 이상 시에는 즉각적인 대체 수단 확보와 보고 체계가 필수입니다.


6. 마취간호사의 실무 적용 포인트 👩‍⚕️

  • 감시장비 사전 점검: ECG lead, BP 커프, SpO₂ probe 작동 확인
  • 기록 담당자 지정 및 역할 분담: 수술 중 생체징후 실시간 기록
  • 기록 오류 발생 시 라인 취소 후 정정 서명 필수
  • 수술 중 이벤트 발생 시 보고 및 기록 동시 수행
  • 회복기 감시 연결: SpO₂ 측정기, 혈압계, 산소공급 체크
  • 이송 시 핸드오버 문서 준비: 수술 경과, 마취 종류, 진통약 투여 기록 포함
  • 감시장비 이상 대비 훈련 참여: 시뮬레이션 기반 정기 교육 시행 필요

✅ 마취간호사는 단순한 기계 감시자가 아닌,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한 임상적 판단과 환자 안전 확보의 중심 인력입니다.


📚 참고문헌

  1.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tandards for Basic Anesthetic Monitoring. 2022.
  2.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마취기록지 표준 지침. 2023.
  3. Barash Clinical Anesthesia. 2021.
  4. 한국마취간호학회 수술 전후 감시 및 기록 가이드라인. 2023.
  5. WHO Surgical Safety Checklist. 2022.
  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PACU Care, 2021.
  7. Miller’s Anesthesia, 9th Ed.
  8.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ACU Monitoring Protocol. 2022.

환자 감시 및 마취 기록의 핵심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