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 유지와 기관 내 삽관의 임상 전략

2025. 3. 23. 09:53마취통증의학

기도 유지와 기관 내 삽관의 임상 전략 – 해부학, 기도 평가, 그리고 어려운 기도의 대응

기도 유지와 기관 내 삽관의 임상 전략 – 해부학, 기도 평가, 그리고 어려운 기도의 대응 🌬️

기도 유지(Airway maintenance)는 전신마취와 중환자 치료에서 생명 유지를 위한 가장 핵심적인 과정 중 하나입니다. 특히 **기관 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은 기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적절한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제거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해부학적 구조의 다양성, 환자의 기저 질환, 응급 상황 등으로 인해 **어려운 기도(difficult airway)**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준비와 평가가 필수입니다. 본 글에서는 기도 유지의 과학적 원리부터 실무 적용까지 AdSense 승인 기준에 맞춰 구성하였습니다.


📌 목차

  1. 기도의 해부학적 구조
  2. 기도 유지기구의 종류 및 사용 원리
  3. 기관 내 삽관의 기본 절차
  4. 어려운 기도의 사전 평가 및 ASA 알고리즘
  5. 기관 삽관의 합병증과 예방 전략
  6. 마취간호사의 실무 적용 포인트
  7. 참고문헌

1. 기도의 해부학적 구조 🔬

기도는 **상기도(Upper airway)**와 **하기도(Lower airway)**로 나뉩니다:

구분 주요 구조물 기능

상기도 비강, 인두, 후두 공기 통로, 발성, 이물질 차단
하기도 기관, 기관지, 폐포 산소 교환, CO₂ 배출

상기도는 음성 형성, 이물질 여과 기능 외에도 기도 폐쇄를 일으키는 주요 해부학적 원인이 되며, 하기도는 산소 교환이라는 핵심 기능을 담당합니다.

특히 **후두(larynx)**는 삽관 시 직접 관찰되는 부위로, 구조적 이상 또는 부종이 있을 경우 기도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후두개, 성문, 윤상연골 등은 기도관리에서 주요한 해부학적 기준점이 됩니다.


2. 기도 유지기구의 종류 및 사용 원리 🧰

✅ 기본 유지기구

  • 구강기도(OPA): 혀에 의한 폐쇄 방지, 의식 없는 환자에 적합
  • 비강기도(NPA): 비강 경로로 삽입, 경련 환자나 턱 관절 제한 환자에 사용

✅ 고급 유지기구

  • 후두마스크 기도(LMA): 기관 삽관이 어려운 경우 대체로 사용 가능
  • 기관 내 튜브(ETT): 기도 확보의 표준, 전신마취 또는 응급상황 시 삽입
  • 비디오 후두경(VL): 시야 확보 어려운 경우 삽관 성공률 향상

✅ 특수 기도기구

  • 광섬유 후두경(Fiberoptic scope): 협소하거나 병변이 있는 기도에서 사용
  • 콤비튜브(Combitube): 이중 루멘으로 응급상황에서 삽관 위치 무관하게 환기 가능

📌 기기 선택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의식 수준, 삽관 예상 난이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3. 기관 내 삽관의 기본 절차 🩺

  1. 전처치: 산소화(O₂ reserve), 진정제, 근이완제 투여
  2. 기도 확보 위치 확인: 머리-목 신전(‘sniffing position’)
  3. 후두경 삽입: Cormack-Lehane 분류로 성문 노출 정도 확인
  4. 튜브 삽입: 성문 통과 후 20–22 cm 정도 삽입 (성인 기준)
  5. 확인 및 고정:
    • 청진, ETCO₂ 모니터링, 흉곽 상승 확인
    • 튜브 고정 및 cuff 압력 조절 (20–30 cmH₂O)

📌 cuff 압력이 과도하면 점막 허혈, 낮으면 누기 발생 가능 → 정확한 측정 필수


4. 어려운 기도의 사전 평가 및 ASA 알고리즘 ⚠️

✅ 기도 평가 기준

항목 정상 범위 이상 시 시사점

Mallampati 분류 Class I–II III 이상은 어려운 삽관 가능성 ↑
Thyromental distance ≥ 6.5 cm 짧으면 성문 노출 어려움
Neck extension 자유로움 제한 시 삽관 각도 확보 어려움
Inter-incisor distance ≥ 3.5 cm 입벌림 제한 시 기기 삽입 곤란
Upper lip bite test Class I–II 하악 전진능력 ↓ 시 삽관 어려움

🔍 ASA Difficult Airway Algorithm 요약

  • ① 예측된 어려운 기도 → 준비된 팀 구성, 기구 선택
  • ② 실패 시 단계별 백업 계획: LMA → 기도 절개 → ECMO 고려
  • ③ 산소공급 유지 원칙: 항상 산소 포화도 유지가 우선

✅ 2022년 ASA 가이드라인에 따라 어려운 기도는 사전 대비가 가장 중요하며, ‘기억 기반 대처’는 금지됩니다.


5. 기관 삽관의 합병증과 예방 전략 🧨

기관 삽관은 필수적이지만, 다양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주요 합병증

  • 치아 손상, 성대 손상, 기도 점막 열상
  • 무기폐, 흡인성 폐렴, 후두 부종
  • cuff 압력 이상으로 인한 기관벽 손상 또는 점막 허혈
  • 잘못된 삽관 위치 → 식도삽관

🛡 예방 전략

  • 정확한 사전 평가 및 기구 선택
  • cuff 압력계 사용, 시각적 삽관 확인
  • 적절한 자세, 기도 곡선과 일치하는 경로 확보
  • 반복 실패 시 즉시 비디오 후두경 또는 fiberoptic 전환

📌 반복 실패는 기도 부종을 유발하여 더 큰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3회 이상 시 즉시 전략 변경 필요


6. 마취간호사의 실무 적용 포인트 👩‍⚕️

  • 마취 전 평가 기록: Mallampati, 경부 운동성, 치아 상태 등 사전 문진
  • 기도 확보 도구 준비: 사이즈별 구강기도, LMA, 튜브, 백업 VL 반드시 준비
  • 삽관 시 보조: 외부후두압(Sellick maneuver), 후두경 시야 확보 보조
  • 회복실 이송 전 확인:
    • cuff 압력 측정, 튜브 고정상태, 환자 자발호흡 여부
    •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실시간 모니터링
  • 응급 대비: 기도 붕괴, 성문 경련 등 급성 상황 발생 시 응급 약물 및 제거 시나리오 확보

✅ 마취간호사는 단순한 보조자가 아니라 기도 확보의 안전을 설계하는 전문가로 기능합니다.


📚 참고문헌

  1.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the Difficult Airway. Anesthesiology. 2022.
  2. Miller’s Anesthesia, 9th Ed.
  3. 한국마취간호학회 교과서. 2023.
  4. Manual of Emergency Airway Management. Walls RM, 2021.
  5. Difficult Airway Society Guidelines, 2020.
  6. Clinical Anesthesia by Barash, 2021.
  7. Korean Airway Management Society Protocol.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