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4. 07:02ㆍ마취통증의학
통증 의학의 병태 생리와 치료 전략 – 급성 통증에서 만성 통증으로의 전환 이해하기 🔍
통증은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생리적·신경학적·심리사회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차원적 경험입니다. 특히 급성 통증이 치료되지 않거나 반복적으로 자극될 경우 중추 신경계 수준에서 가소적 변화가 유도되며, 이는 만성 통증으로의 전환을 초래합니다. 본 글에서는 통증의 병태생리를 심화된 구조로 정리하고, 신경계 기반의 치료 전략과 간호 적용 방안을 과학적 근거 중심으로 서술합니다.
📌 목차
- 통증의 정의와 분류
- 통증 전달 경로와 중추 감작 기전
- 급성 통증의 병태생리
- 만성 통증으로의 이행 기전
- 통증 조절을 위한 치료 전략
- 마취간호 실무에서의 적용 포인트
- 참고문헌
1. 통증의 정의와 분류 📖
**통증(Pain)**은 실제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관련된 불쾌한 감각적 및 정서적 경험입니다. 국제통증학회(IASP)는 2020년 개정 정의에서 감정적 측면을 강조하고, 통증의 주관성을 진단의 핵심 요소로 제시하였습니다.
🔹 통증의 주요 분류
분류 기준 종류 설명
발생 기간 | 급성 / 만성 | 급성: 조직손상 반응 / 만성: 3개월 이상 지속 |
병태생리 | 염증성 / 신경병증성 / 기능적 | 병인별 치료 접근 달라짐 |
유병 기전 | 말초 감작 / 중추 감작 / 억제 회로 장애 | 치료 반응 예측 가능 |
2. 통증 전달 경로와 중추 감작 기전 🧠
통증 자극은 말초에서 수용된 후, 척수 후근을 거쳐 시상-대뇌피질 경로를 통해 인식됩니다. 그러나 자극이 반복되거나 강도가 강할 경우, 척수 수준에서 NMDA 수용체 과활성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감소가 발생하면서 **중추 감작(Central Sensitization)**이 유도됩니다.
이로 인해 통각과민(hyperalgesia), 이질통(allodynia)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기존의 진통 전략에 반응하지 않거나 예측 불가능한 통증 반응으로 이어집니다.
3. 급성 통증의 병태생리 🔬
급성 통증은 주로 조직 손상에 따른 염증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브래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IL-1 등 염증 매개물질이 말초신경을 자극하며 통증을 유발합니다.
🔹 특징
- 조직 손상 부위 국소 반응
- 통증 부위 명확, 예측 가능
- 염증 소실 시 회복
- 진통제 반응 양호
그러나 통증 억제가 불충분하거나 장기화될 경우, 중추 감작을 유발하여 만성 통증의 위험 인자가 됩니다.
4. 만성 통증으로의 이행 기전 ⚠️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급성 통증이 만성화되는 주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추 감작(Central Sensitization)
- 말초 감작의 지속
- 내인성 억제 경로(PAG-RVM 축)의 기능 저하
- 정서적 요인 (우울, 불안, 수면장애)
MRI 연구에서는 만성 통증 환자에서 해마와 측좌핵의 구조 변화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정서적 조절과 통증 지각 간의 상호작용을 시사합니다.
5. 통증 조절을 위한 치료 전략 💊
✅ 약물 요법
- NSAIDs: 염증성 통증에 효과적, 위장관 부작용 주의
- Opioids: 중증 통증에 사용, 의존성 관리 필수
- 항경련제 / 항우울제: 신경병증성 통증에 1차 약물로 사용됨
✅ 비약물 요법
- 인지행동치료(CBT), TENS, 바이오피드백
- 명상, 요가, 수면위생 교육
📌 **멀티모달 치료 접근(MMA)**이 현재 국제 통증 치료 가이드라인의 표준으로 간주됩니다.
6. 마취간호 실무에서의 적용 포인트 👩⚕️
- 수술 전 통증 병력 평가: NRS, VAS 기록 / CSI 시행 가능 시 실시
- 회복실(PACU)에서의 통증 모니터링: 반복적 관찰, 진통제 반응 확인
- 진통제 다중 투여 시 상호작용 모니터링
- 비약물요법 병행 여부 확인 및 교육
간호사는 단순히 통증 수치를 기록하는 수준을 넘어, 환자 중심의 통증 조절 계획 수립에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합니다.
📚 참고문헌
- IASP.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Revised Pain Definition. 2020.
- Woolf CJ. Central Sensitization: Implication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in. Pain. 2011.
- Apkarian AV, Hashmi JA, Baliki MN. Pain and the brain: specificity and plasticity of the brain in chronic pain. Pain. 2011.
- 한국통증학회 진료지침 제5판. 2023.
-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마취전 평가 및 회복관리 지침. 2022.
'마취통증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취 중 저혈압 (0) | 2025.03.28 |
---|---|
마취 깊이란? – BIS, 뇌파, 자율 신경 반응으로 보는 임상 적용 가이드 (0) | 2025.03.27 |
만성 통증의 병태 생리와 치료 전략 (0) | 2025.03.26 |
급성 통증(Acute Pain)의 병태 생리와 치료 (0) | 2025.03.25 |
근이완제(Muscle Relaxants)의 종류, 작용기전 및 임상 적용 가이드 (0) | 2025.03.23 |
기도 유지와 기관 내 삽관의 임상 전략 (0) | 2025.03.23 |
환자 감시 및 마취 기록의 핵심 전략 (0) | 2025.03.22 |
마취 통증 의학에서 의 초음파 활용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