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3. 17:50ㆍ마취통증의학
🤖 복강경 수술과 전신마취 개요
🗂️ 목차 (Table of Contents)
- 복강경 수술과 전신마취 개요
- 복강경 수술의 마취 전 평가 포인트
- 기도 유지와 기계환기 전략
- 복강 내 압력과 생리학적 변화
- 근이완제 사용 시 고려사항
- 마취 후 회복과 안전관리
- 전신마취 관련 내부 링크 연결
- 결론
🤖 복강경 수술과 전신마취 개요
복강경 수술은 최소침습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수술 기법으로, 복강 내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시야를 확보하고 소형 카메라 및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시술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환경은 환자의 생리학적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마취과 의사는 수술 전, 중, 후 단계에서 매우 정밀한 전신마취 관리가 필요합니다.
복강경 수술에서는 전신마취가 표준적으로 적용되며, 이는 근이완과 기도 확보, 통증 조절, 환자의 움직임 억제 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함입니다. 특히 복강 내 이산화탄소 주입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와 체위 변경이 동반되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복강경 수술의 마취 전 평가 포인트
- 환자의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상태 평가 필수
- 폐질환, 비만, 역류성 식도염 등은 마취계획 수립 시 우선 고려
- 전신마취 시 흡인 위험이 증가하므로, 위 내용물 비우기 및 프리메디케이션 준비 필요
- 기존 복용약, 약물 알레르기, 과거 마취 이력 확인
🫁 기도 유지와 기계환기 전략
복강경 수술에서는 복압 증가로 인해 횡격막이 상방으로 밀리며 폐의 순응도(compliance)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마취 시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 기관삽관 후 폐 보호 환기 전략 적용
- PEEP(양압호기말압) 설정
- 낮은 일회 호흡량(tidal volume)과 적절한 호흡수 설정
-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분당환기량 증가
또한 Trendelenburg 자세(머리를 아래로, 다리를 위로 하는 자세)는 기도 부종 및 정맥귀환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체위 조정 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복강 내 압력과 생리학적 변화
복강 내 압력 상승은 다음과 같은 생리학적 변화를 유발합니다:
- 정맥환류 감소 및 심박출량 감소
- 혈압 상승 또는 감소 (개인 상태에 따라 다름)
- CO₂ 흡수로 인한 고탄산혈증 가능성
- 상복부 압박으로 인한 폐활량 감소 및 산소화 저하
따라서 마취 중 지속적인 ETCO₂ 모니터링, 산소포화도, 심전도 감시가 필수입니다.
💪 근이완제 사용 시 고려사항
복강경 수술은 근육의 이완이 필수적인 상황이 많기 때문에 비탈분해성 근이완제인 **로쿠로늄(Rocuronium)**이나 베쿠로늄(Vecuronium) 등이 사용됩니다. 특히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신속한 삽관과 안정적인 수술 시야 확보 목적
- 잔류 근이완 방지를 위한 마취 후 역전 약물(Sugammadex) 준비
- TOF 모니터링을 통한 근이완 깊이 조절
🛌 마취 후 회복과 안전관리
복강경 수술 후에는 다음과 같은 회복 관리가 중요합니다:
- 기도 확보 상태 유지 후 자발호흡 회복 확인
- 구토 및 흡인 예방을 위한 자세 관리
- 잔류 CO₂로 인한 어깨 통증 등에 대비한 진통제 투여
- 근이완 완전 회복 확인 후 퇴실
마취 후 회복은 환자의 전신 상태와 마취 심도의 적절한 조절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므로, 수술 직후 적극적인 감시와 개별화된 대응이 필요합니다.
🔗 전신마취 관련 내부 링크 연결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전신마취 약물의 작용과 분류가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이 글에서는 유도제, 흡입 마취제, 진통제, 근이완제 등의 기전과 사용법을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 참고문헌
- Miller’s Anesthesia, 9th Edition. Elsevier.
- Barash PG, et al. Clinical Anesthesia. 8th Edition. Wolters Kluwer.
- 한국마취통증의학회 교과서 제6판. 대한마취통증의학회.
- Morgan & Mikhail's Clinical Anesthesiology. McGraw-Hill.
- UpToDate – General anesthesia for laparoscopic surgery.
🧾 결론
복강경 수술을 위한 전신마취는 환자의 생리학적 반응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정교한 전략이 요구됩니다. 수술 전 평가에서부터 기도 유지, 환기 조절, 약물 선택, 회복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은 환자의 안전과 수술 결과에 직결됩니다.
전신마취 약물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더불어, 복강 내 압력 변화 및 체위 변화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마취 관리가 필요합니다.
복강경 수술에 있어 전신마취는 단순한 수면 유도가 아니라, 정확한 생리학적 조절과 안전 확보의 핵심 축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마취통증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염기 평형(Acid-Base Equilibrium)과 생리적 조절 (0) | 2025.03.20 |
---|---|
전신 마취에 사용되는 마취 약물의 종류와 특징 (0) | 2025.03.20 |
마취와 윤리: 환자의 권리와 의사의 책임 (0) | 2025.03.20 |
간 담도 수술을 위한 마취 전략 (0) | 2025.03.13 |
외래 마취의 개요와 필요성 (0) | 2025.03.13 |
장기 기증 수술 에서 의 전신 마취 (0) | 2025.03.07 |
신경외과 수술 마취-뇌를 지키는 마취의 기술 (0) | 2025.02.18 |
응급 상황에서 시행되는 마취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