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담도 수술을 위한 마취 전략

2025. 3. 13. 23:50마취통증의학

간 담도 수술을 위한 마취 전략 – 간 기능과 혈역학에 기반한 최신 임상 가이드 🧬

간담도 수술(hepatobiliary surgery)은 해부학적으로 복잡하고 생리학적으로도 민감한 영역에 속하는 외과 수술입니다. 특히 간은 체내의 대사, 해독, 단백질 합성, 응고 인자 생성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수술 중 마취로 인한 생리적 변화는 환자의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본 글에서는 최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간담도 수술 시 적용되는 마취 전략을 다루며, 간 기능 보존과 안전한 회복을 위한 실제적 임상 지침을 제공합니다.


📌 목차

  1. 간담도 수술과 마취의 생리학적 상호작용
  2. 마취 유도 약제의 선택과 기도 관리
  3. 마취 유지 중 간관류 유지 전략
  4. 수술 후 통증조절과 회복기 모니터링
  5. 간 기능 저하 환자에서의 특수한 고려사항
  6. 마취간호사의 임상적 개입 포인트
  7. 참고문헌

1. 간담도 수술과 마취의 생리학적 상호작용 🧠

간은 총 심박출량의 약 25%를 공급받는 고혈류 장기로, 정맥 순환 및 간동맥 자율조절 기능이 정교하게 작동합니다. 마취 중 저혈압, 고농도 흡입제, 과도한 정맥수액 투여는 간 관류를 손상시키고, 간세포 괴사, 약물 대사 저하, 응고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복강경 간수술 시 이산화탄소 기복(CO₂ pneumoperitoneum)은 정맥환류 감소, 간정맥압 증가, 심박출량 저하를 유발하며, 이로 인한 간관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기복압(P < 12 mmHg) 유지와 함께 산소화, 심박동 감시, 정밀 수액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 연구에 따르면, 간절제 수술 중 중심정맥압(CVP)을 5 mmHg 이하로 유지할 경우 수술 중 출혈량을 유의하게 줄일 수 있으며(Anesthesiology, 2010), 이는 간손상 후 회복률에도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2. 마취 유도 약제의 선택과 기도 관리 전략 💉

✅ 약물 선택 기준

약물 장점 주의사항

에토미데이트 심혈관 안정성, 간대사 거의 없음 부신 억제, 근경련 가능성
프로포폴 항구토 효과, 회복 빠름 저혈압 유발 주의
케타민 저혈압 환자에 유리 간내 압력 증가 가능성 있음
로쿠로늄 안정적 근이완 간대사 경로 고려 필요

기관 내 삽관은 필수이며, 복강경 수술 시에는 PEEP 5–10 cmH₂O 설정과 함께 산소화(O₂ saturation) 및 이산화탄소 농도(PaCO₂) 실시간 감시가 필요합니다.

📌 ASA 가이드라인(2023)은 Child-Pugh B 이상 환자에서 에토미데이트 + 레미펜타닐 기반 TIVA를 우선 추천합니다.


3. 마취 유지 중 간관류 유지 전략 🩺

간은 이중 혈류(간동맥 + 문맥)을 갖기 때문에, 마취 중 간 혈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간 기능 보존의 핵심입니다.

  • 흡입제 농도 조절: 세보플루란은 1 MAC 이하에서 간혈류를 안정적으로 유지함
  • TIVA 사용 시 프로포폴/레미펜타닐 병용은 간 독성이 낮고 빠른 회복 가능
  • 혈압 유지: MAP 65–75 mmHg 유지, 필요 시 노르에피네프린 지속 투여
  • 수액 관리: 제한적 수액 전략(Goal-directed fluid therapy), 중심정맥압 < 5 mmHg 유지
  • 간절제 중 CVP 모니터링: 간 정맥 출혈 감소 목적

4. 수술 후 통증조절과 회복기 모니터링 🌟

간수술 환자에서 통증 조절은 단순 진통뿐 아니라 호흡기 합병증, 창상 회복, 장운동 재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칩니다.

📌 진통 전략

  • PCA (Fentanyl 기반)
  • 다중양식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 NSAIDs + TAP block
  • 경막외 카테터: 개복술인 경우 우수한 진통 효과, 저혈압 주의

📌 회복 모니터링

  • 간성 혼수, 고암모니아혈증 발생 여부 확인
  • AST/ALT, PT-INR, Total bilirubin 12–24시간 간격 모니터링
  • TOF ratio ≥ 0.9 확인 후 자발호흡 평가 및 기도 제거

5. 간 기능 저하 환자에서의 특수한 고려사항 ⚠️

  • 간대사 회피 약물 선호: Cisatracurium (Hofmann 분해), Remifentanil (혈장 에스터라제 대사)
  • 항응고 기능 저하 고려: Neuraxial block 시 INR < 1.4 확인 필수
  • 혈당 유지: 간 기능 저하 시 저혈당 위험 증가 → Dextrose 함유 수액 고려
  • 감염 관리: 면역기능 저하 고려, 예방적 항생제 필요

📌 간 이식 전 단계(Child C)는 마취 자체가 고위험 행위로 간주되므로, pre-op optimization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6. 마취간호사의 임상적 개입 포인트 👩‍⚕️

  • 수술 전 검사결과 확인: PT/INR, LFT, NH₃, Alb, 전해질 등
  • 마취 중 산소포화도,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실시간 모니터링
  • 수술 중 출혈량 계산 및 수액 종류, 투여량 정확히 기록
  • 회복기 PONV 여부 관찰 및 구토 시 흡인 위험 방지
  • 진통 점수 기록, Aldrete score ≥ 9 확인 후 퇴실 판단

📚 참고문헌

  1. Miller’s Anesthesia, 9th Ed.
  2. Hepatic Circulation and Anesthesia. Anesthesiology, 2010
  3. ASA Guidelines for Anesthesia in Liver Disease, 2023
  4.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 Hepatobiliary Surgery Protocols, 2022
  5. Clinical Liver Anesthesia, Elsevier, 2021
  6. 한국마취간호학회 수술 간호 매뉴얼 (2023)

간 담도 수술을 위한 마취 전략